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독서노트/공자 l 「논어(論語)」4

「논어(論語)」 제1편 제4장 제1편학이 學而제4장 원문)「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증자왈: 오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부충호? 여붕우교이불신호? 전불습호?) 번역)   증자가 말하였다. "나는 매일 세 가지로 나 자신을 반성한다. 남을 위해 일을 도모하면서 충성스럽지 않았는가? 친구와 사귀면서 신의를 지키지 않았는가? 스승에게 배운 것을 익히지 않았는가?" 해석)1. 일일삼성(一日三省)   증자는 매일 자신을 "세 가지 측면"에서 성찰한다고 합니다. 이는 도덕적 삶을 살아가기 위해 스스로를 끊임없이 돌아보는 태도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의미입니다. 2. 세 가지 반성   - 충성(忠): 다른 사람을 위해 무언가를 계획하고 도모할 때, 진심을 다해 충성했는지 성찰합니다.    - 신의(信): 친구.. 2024. 10. 7.
「논어(論語)」 제1편 제3장 제1편학이 學而제3장원문)「子曰: 巧言令色, 鮮矣仁!」 (자왈: 교언영색, 선의인!)번역)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좋게 꾸미는 사람은 인(仁)이 드물다." 해석)1. 교언영색(巧言令色)   "교언(巧言)"은 교묘한 말, 즉 겉으로 듣기 좋게 꾸민 말을 의미하며, "영색(令色)"은 겉으로 잘 보이기 위해 표정을 꾸미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공자는 교묘한 말과 잘 꾸민 표정으로 사람들에게 잘 보이려는 행동이 도덕적 덕인 인(仁)과는 거리가 멀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2. 인(仁)이 드물다     공자는 이런 외형적인 꾸밈에만 신경 쓰는 사람은 참된 인(仁)을 실천하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진정한 인은 겉모습이나 말솜씨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진심과 내면의 덕성에서 비롯된다고 .. 2024. 10. 6.
「논어(論語)」 제1편 제2장 제1편학이 學而제2장원문)「有子曰: 其為人也孝弟, 而好犯上者, 鮮矣. 不好犯上, 而好作亂者, 未之有也.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為仁之本與!」(유자왈:  기위인야효제, 이호범상자, 선의. 불호범상, 이호작란자, 미지유야. 군자무본, 본립이도생.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번역)   유자가 말하였다. "사람이 효도하고 형제에게 우애를 베풀면 윗사람에게 반항하는 일이 드물다. 윗사람에게 반항하지 않으면 난을 일으키는 일도 없다. 군자는 근본을 힘쓰는데, 근본이 서면 도가 생긴다. 효와 우애는 인(仁)의 근본이다." 해석)1. 효제(孝弟)의 중요성      유자는 공자의 제자로, 효도(孝)와 형제 간의 우애(弟)를 덕목으로 강조합니다. 효도와 우애를 제대로 실천하는 사람은 윗사람에게 반항하지 않는다.. 2024. 10. 6.
「논어(論語)」 제1편 제1장 제1편학이 學而제1장 원문)「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번역)   "배우고 때로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 친구가 먼 곳에서 찾아오면 즐겁지 아니한가?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더라도 서운해하지 않으면 군자가 아니겠는가?" 해석)1.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   "배우고 때로 익힌다"는 말은 단순히 지식을 쌓는 것뿐만 아니라 배운 것을 반복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공자는 배움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 기쁨을 느낀다고 말합니다. 2. 유붕자원방래(有朋自遠方來)   "친구가 먼 곳에서 찾아온다"는 것은 배움을 공유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의미합니다. 공자는 서로 배.. 2024. 10. 6.
반응형